DE&I란? Diversity, Equity & Inclusion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

DE&I 개념

최근 ESG관련 기사를 보며 자주 접하는 단어가 있다. 바로 ‘DE&I’이다.

DE&I는 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의 줄임말이며, 우리말로는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을 뜻한다.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 세 가지 가치가 ESG경영 측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맥킨지 기사를 참고하여 정리해보았다.

* 참고자료: https://www.mckinsey.com/featured-insights/mckinsey-explainers/what-is-diversity-equity-and-inclusion




DE&I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 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

DE&I를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조직이 모든 각계계층의 사람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구현하고자 하는 세 가지 가치’라고 할 수 있겠다.

다양하고 공정하며, 포용적인 기업, 즉 ‘DE&I를 고려하는 조직’은 위기에 잘 대응하고 인재관리에 능하며, 다양한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조직이 DE&I를 포함한 조직 분위기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DE&I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다양성이 넘쳐나는 현대사회의 기업이 급변하는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한 조합이기 때문에 함께 묶여 거론되고 있지만, 분명히 다른 개념이다.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에 대한 개념을 분리하여 파악해보려 한다.




DE&I (1) – 다양성(Diversity)

맥킨지 기사에서 다양성은 ‘노동력을 대표되는 사람(who is represented in the workfore)’으로 정의된다.
이는 개인들의 정체성을 의미하는 듯하다.
성 다양성, 연력 다양성, 민족 다양성, 신체적 능력 다양성 등을 예로 들고 있다.

​15개국 약 1,000개 이상 대기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다양성과 비즈니스 성과 사이에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했다.
조직 내 다양성이 높을수록 인재에 대한 접근성이 높고, 직원의 참여가 증가한다고 한다.

​이 외에도 몇몇 연구에서 다양성과 아래와 같은 성과들이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했다

  • 성 다양성이 높은 상위 25% 기업의 임원진이 하위 25% 기업의 임원진보다 평균 이상의 수익성이 좋음
  • 임원의 30% 이상이 여성인 기업은 30% 미만인 기업보다 실적이 좋음
  • 민족다양성 및 문화다양성이 높은 상위 25% 기업이 하위 25% 기업보다 수익성이 좋음




DE&I (2) – 형평성(Equity)

형평성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공정한 대우(fair treatment for all people)’로 정의한다.
따라서, 시행하는 규범, 관행, 정책 등은 신분이 기회나 실적을 예측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형평(Equity)은 개인의 고유한 환경을 고려하여 최종 결과가 동일하도록 대우를 조정하는 반면, 평등(Equality)은 모든 사람이 동일하게 대우받아야 한다고 가정하는 점에서 형평과 평등이 미묘하게 다른 것을 강조한다.

DE&I - Equity(형평)




DE&I (3) – 포용성(Inclusion)

포용성은 직원이 직장을 경험하는 방식과 조직이 모든 직원을 포용하고 의미 있는 기여를 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모든 직원이 자신의 목소리가 들릴 것이라고 믿고, 소속감과 통합을 느낄 수 있도록 조직문화를 구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해당 기사에서는 다양성(Diveristy)과 포용성(Inclusion)이 성과 외의 조직에게 미치는 영향을 예로 들며, DI를 강조했다.

  • 인재확보: 인구 통계학적 프로필을 모니터링하는 조직은 다양한 인재를 잃지 않도록하면서, 최고의 인재를 유지할 수 있다
  • 의사결정의 질 향상: 다양성은 고도화되는 문제 해결 기술과 비전이 필요한 시기에 다양한 관점을 제시한다.
  • 고객 통찰력 및 혁신 증대: 일반적으로 다양한 팀이 더 혁신적이고 변화를 잘 예측한다.
  • 직원의 동기 부여 및 만족도 향상
  • 기업의 글로벌 이미지 및 라이센스 개선: 위기 상황에서도 포용과 다양성을 유지하는 기업은 인재 확보에 어려움을 겪거나 고객과 정부 지원을 잃는 등의 결과를 피할 수 있다.




함께 읽을 Posts | 전과정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

(1) 전과정사고(LCT; Life Cycle Thinking)
(2) 영향 범주(Impact Category)
(3) LCA Software(Simapro vs Gabi)

이 포스팅은 쿠팡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