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이용 개념과 순환경제 4원칙(Reduce Reuse Recycle Recovery)

순환이용 개념과 순환경제 4원칙(Reduce, Reuse, Recycle, Recovery)





‘컴퓨터’는 슈퍼컴퓨터, 개인용컴퓨터(PC), 랩탑, 태블릿 등으로 세분화되었다.

과거 우리나라에서 파스타 면은 ‘스파게티’로 통용되었으나, 양식이 보편화된 지금은 스파게티, 페투치네, 펜네, 라자냐 등으로 세분화되었다.
이렇듯 용어는 사회적 관심도나 기술 진보에 따라 세분화되고 표준화된다.

지금은 ESG의 시대이다.
과거 ‘재활용’이라는 단어로만 사용했던 ‘순환이용’이라는 개념으로 확장되었고, 세분화되었다.
‘순환이용’의 분류를 살펴보고자 한다.





순환이용 정의

‘순환이용’이라는 단어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사용하는 듯하다.

「자원순환기본법」을 개정하여 24년 1월 1일부터 시행될 「순환경제사회 전환 촉진법」에서는 ‘순환이용’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제2조 3항. “순환이용”이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활동을 말한다.
가. 사람의 생활이나 산업활동에서 사용된 물질 또는 물건을 다시 자원으로 재사용 및 재생이용하는 등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일련의 활동
나. 폐기물로부터 「에너지법」 제2조 1호에 따른 에너지를 회수하거나 회수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활동





순환이용 분류

국내에서 처음 등장한 단어이지만, 일반적인 ‘순환이용’ 개념을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순환경제의 4원칙’과 유사하게 매치해보았다.

순환이용 개념과 순환경제 4원칙



저감 (Reduce)

저감은 가장 근본적인 접근이다.

자재의 사용량을 저감(reduce)하여 ‘원료물질 추출(제조전) 단계’와 ‘제조단계’, ‘수송/유통단계’, ‘폐기단계’의 환경영향까지 줄일 수 있는 ‘감량(Weight Reduction)’이 있고, 신재의 사용량을 저감(reduce)하여 ‘원료물질 추출(제조전) 단계’와 ‘폐기단계’의 환경영향을 줄일 수 있는 ‘재생원료 사용(Post Consumer Recycled)’이 있다.

​또한, 내구성이 뛰어난 제품을 생산하여 잠재적인 자원소모와 폐기량을 줄이는 ‘저감(reduce)’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재사용 (Reuse)

재사용은 제품의 형태와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 제품 자체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고장난 제품을 수리하거나 부품을 교체하여 다시 사용하는 것은 ‘재사용(reuse)’ 중 수리/교체(Repair/Replacement)로 볼 수 있다.

얼마 전, 삼성전자가 갤럭시 핸드폰을 자가수리할 수 있는 키트를 출시하였는데, 자원순환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한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 참고: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30530/119533424/1

다 쓴 토너카트리지에 토너를 충전하는 재제조(Remanufacturing) 토너카트리지 역시 재사용(reuse)의 대표적인 예이다.

순환이용 및 순환경제 원칙 Reuse

※ 출처: 가나안근로복지관

생활 속에서 자주 사용하는 리필형 용기와 리필내용물 역시 용기를 재사용(reuse)하는 것에 해당된다.



재활용 (Recycle)

재활용(recycle)과 회수(recovery)는 국가마다 정의에 차이가 있다.
또, 국가 내에서도 업계에 따라서도 정의가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재활용은 ‘물질의 낭비를 줄이기 위해 사용한 제품을 새로운 제품으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제품의 원래 형태를 변경하지 않는 재사용과는 달리, 재활용은 제품의 형태를 변경하여 새로운 제품을 생산한다.

PET 병을 분쇄하여 플레이크(flake) 형태로 만들어, 다른 제품의 자재로 사용하는 물질 재활용(기계적 재활용, Material Recycle)이 대표적인 예이다.

순환이용 및 순환경제 원칙 Recycle

※ 출처: 한국폐기물협회

화학적 재활용 역시 플라스틱에서 주로 언급된다.
플라스틱은 모노머(단량체) 분자를 서로 연결시키는 ‘중합’을 거쳐 폴리머(고분자)로 만든 것이다.

모노머(Monomers)와 폴리머(Polymers)

※ 출처: 한화솔루션 홈페이지(원출처: GALAXACT)

화학적 재활용(Chemical Recycle)은 폴리머를 화학적으로 모노머화시킨 후, 열분해유를 생산하거나, 다시 폴리머의 원료로 만드는 것이다.

화학적 재활용

※ 출처: 한화솔루션 홈페이지



회수 (Recovery)

최근 주목받는 에너지회수(Energy Recovery) 중 하나는, 열병합 발전(CHP; Combined Heat & Power)이다.
주로 천연가스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면서 발생하는 열(에너지)을 회수하는 것이다.

발생하는 열을 이용해 물을 끓여 따뜻한 기체와 온수를 생산하는데, 주로 따뜻한 기체(Steam)는 인근 공장에, 온수는 가정에 공급된다.

순환이용 및 순환경제 원칙 Recovery

※ 출처: SK E&S





친환경 수소 시리즈

출처: “직장인 509의 ESG&Economy Story”

(1) 수소에너지와 수소 생산 – 개질수소, 부생수소, 수전해
(2) 수소 분류 – 에너지원/생산방식에 따른 분류 및 수소 색깔
(3) 수소에너지와 연료전지 – 수소 생산 그 이후, 수소를 이용한 전력생산

이 포스팅은 쿠팡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