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LCI DB 구축 사업과 GLAD Database

국가 LCI DB 구축 사업과 GLAD Database Platform





GLAD Database란?

What is GLAD

GLAD란 The Global LCA Data Access network의 약자로, 전세계 LCI Database 플랫폼 중 하나이다.

UNEP(유엔환경계획, UN Environment Programme)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23년 7월 현재 약 97,300 개의 Dataset이 업로드 되어 있다.

* 정확히는 UNEP 산하기관 Life Cycle Initiative에서 운영

국가 LCI DB 구축 사업과 GLAD Database

※ Global LCA Data Access network 홈페이지 (https://www.globallcadataaccess.org/)

UNEP가 운영하기도 하고, 구축한 LCI Database를 GLAD에 등록하기 위해서는 일정수준의 데이터 품질이나 신뢰도를 만족해야 한다.

또한 eocinvent나 Gabi 등 이미 데이터 품질이 우수한 민간에서 제공하는 유/무료 DB도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접근성도 좋다.

따라서, 글로벌 기업들이 자사 Scope 3 배출량을 산정하거나 고객사 대응을 위한 LCA를 수행할 때, GLAD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경우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 GLAD의 중요성 및 현황

EU위원회, 일본, 스위스스웨덴, 미국 등 14개 국의 LCA DB가 GLAD를 통해 상호호환이 가능하다.

최근 이슈인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대응을 위해 국내 LCI DB가 국제사회에서 인정받을 수 있을 정도로 고도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미국 자동차 LCA 수행을 위해 GLAD DB 사용을 권고하기도 한다.

​이렇게 GLAD에 등록된 DB의 중요성이 커지는 한편, 국내에서 구축하고 GLAD DB에 등록된 LCI DB는 160건 정도 된다.





국가 LCI DB

국내에서는 1990년대부터 산업부, 환경부 주도 하에 국가 LCI DB를 구축해왔다.
현재 환경부 산하기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하 ‘기술원’)에서 공개하고 있는 국가 LCI DB는 438개이고, 실제 구축된 LCI DB는 더 많지만 매우 노후화되었고, GLAD 등 국제 LCI DB 플랫폼에 등록할 수 있는 데이터 품질 요건에 한참 하회하여, 등록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물론 매년 개정한다고 하지만, 실제로 개정이 ‘매년’ 이루어지는지는 모르겠다.)

국가 LCI DB 구축 현황

※ 출처: 환경성적표지인증 홈페이지

국가 LCI DB 구축 현황(건축자재 리스트)

이에 환경부는 2030년까지 1,900여 개의 DB를 구축하여 GLAD에 등록하는 것을 목표로 LCI DB 구축사업을 2022년부터 추진하고 있다.

발전, 철강, 플라스틱 등 국가 기반산업 위주로 우선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국내 기업들이 타이트해져가는 국제 기후변화 규제에 보다 쉽게 대응하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국제사회에서 국내 LCI DB에 대한 신뢰도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GLAD에 등록할 LCI DB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민감 데이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국내 기업은 ‘영업비밀 침해’를 사유로 선뜻 협조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관련뉴스] https://www.sedaily.com/NewsView/29PFQHI1PI





Outro.

국가 LCI DB 구축은 실제로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실무를 하면서도 해외인증 대응이나 해외고객사의 LCA 요구 대응에 국내 LCI DB를 쓰는 경우는 거의 없다.

ecoinvent, Gabi 등 민간 LCI DB 플랫폼에서는 ‘대한민국’에서 생산하는 제품의 DB를 구축하지는 않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럽을 제외한 ‘기타국가(RoW; Rest of World)’에 묶여 DB가 구축되는데, 이 경우 탄소배출량이 다소 크게 잡히는 경향이 있다.

국내 생산 제품은 유럽보다 탄소배출량이 높지만, 유럽을 제외한 기타국가(중국, 중동 등)보다 탄소배출량이 낮은 경향을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국내 상황을 반영하여,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LCI DB를 구축하고 GLAD 등 국제 플랫폼에 등록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산업계와 관련부처가 원만히 협의하여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국가 LCI DB가 빠른 시일 내에 구축되길 바란다.





함께 읽을 Posts | 전과정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

(1) 전과정사고(LCT; Life Cycle Thinking)
(2) 영향 범주(Impact Category)
(3) LCA Software(Simapro vs Gabi)

이 포스팅은 쿠팡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