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향 범주(Impact Categories)
전과정평가는 4단계를 거친다.
1. 목적 및 범위정의 (Goal and Scope Definition)
2. 전과정 목록분석 (LCI; Life Cycle Inventory analysis)
3. 전과정 영향평가 (LCIA; Life Cycle Impact Assessment)
4. 전과정 해석 (Life cycle interpretation)
LCA 수행의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국제표준 ISO 14040에서는 영향 범주(Impact Category)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class representing environmental issues of concern to which life cycle inventory analysis results may be assigned
또, KS ISO 14040에서는 영향 범주를 ‘전과정 목록 분석의 결과를 배분될 중요한 환경적인 이슈를 대표하는 부류’라고 해석한다.
조금 더 쉽게 ‘다양한 투입/배출물질을 환경에 대한 하나의 효과를 분류한 것’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 목록분석(LCI)과 영향평가(LCIA)
LCA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전과정(Life cycle)에 걸쳐 투입되고, 배출되는 물질들을 수치화하고, 환경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에 대해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정형화하는 수단이다.
이때, ‘전과정(Life cycle)에 걸쳐 투입되고, 배출되는 물질들을 수치화하는 것’이 목록분석(LCI), ‘환경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에 대해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정량화하는 것’이 영향평가(LCIA)인 것이다.
그리고 ‘환경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을 영향 범주라고 할 수 있겠다.



▶ 영향 범주
조금 더 쉽게 풀어보자.
현재 가장 큰 환경이슈는 ‘기후변화’이다.
하지만, 기후변화만 환경이던가?
자원고갈, 오존층 파괴, 부영양화, 광화학스모그 형성, 산성비에 대한 영향까지.
그 밖에도 생태계 다양성, 생태계 독성, 인간 독성 등 많은 환경영향 범주가 있다.
이처럼 자원고갈, 오존층파괴, 부영양화, 광화학스모그 형성, 산성비영향, 생태계 다양성, 생태계 독성, 인간 독성 등을 환경 영향 범주라고 한다.
▶ 6대 영향 범주
특히 국내에서 다 많은 연구에서 평가하는 6개 범주로, 아래 6개 영향 범주이다.
- 기후변화 (GWP; Global Warming Potential)
- 자원고갈 (ADP; Abiotic resources Depletion Potential)
- 오존층파괴 (ODP; Ozone Depletion Potential)
- 부영양화 (EP; Eutrophication Potential)
- 산성비영향 (AP; Acidification Potential)
- 광화학스모그 형성 (POCP; Photochemical Ozone Creation Potential)

※ 출처: 환경성적표지 홈페이지(환경성적표지 인증에서는 물발자국을 더해 7대 영향 범주에 대해 평가한다)
▶ 당량 (Equivalent)
6대 영향 범주에 대한 영향을 정량화하는 단위로는 ‘당량(equivalent)’이 쓰인다.
예를 들어보자,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을 주는 물질은 아주 많다.
IPCC에서 규정한 6대 온실가스* 외에도 수많은 물질들이 기후변화에 영향을 주고 있다.
* 6대 온실가스: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수소불화탄소(HFCs), 육불화황(SF6), 과불화탄소(PFCs)
이런 수많은 물질들을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으로 정량화하여야 하는데,
이때 ‘당량(equivalent)’의 개념이 사용된다.
기후변화에 영향을 주는 물질 중, 가장 많이(多) 발생하는 물질은 이산화탄소(CO2)이다.
따라서, 이산화탄소(CO2)가 기후변화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1’로 보았을 때, 다른 물질들이 기후변화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정량화한 것이다.
이산화탄소(CO2)의 기후변화영향(GWP)은 ‘1 kgCO2 eq.’로 표시하며,
메탄(CH4) 25 kgCO2 eq., 아산화질소(N2O) 300 kgCO2 eq. 등으로 표시한다.
마찬가지로, 다른 영향 범주 또한 각 물질이 영향을 주는 정도를 ‘1’로 보고, 당량으로 표시하는 것이다.

[Series] 전과정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
(1) 전과정사고(LCT; Life Cycle Thinking)
(2) 영향 범주(Impact Category)
(3) LCA Software(Simapro vs Gabi)
이 포스팅은 쿠팡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